본문 바로가기
[기획자 시선]

Day14. 와디즈에서 메이커 팔로우 유도하기

by 수제팥앙금 2024. 5. 25.

안녕하세요, 기획자 팥씨입니다.

오늘은 와디즈에서 '서포터'가, 관심있는 메이커에게 더 쉽게 팔로우할 수 있도록 어떻게 동선을 추가했는지 다뤄보겠습니다.

 

 

 

BottomSheet로 팔로우 수 279% 상승시키기 - 와디즈 블로그

와디즈에 서포터가 관심있는 메이커를 더 쉽게 팔로우 할 수 있도록 동선을 추가했습니다. 이 작은 동선 하나만으로 무려 주요 지표가 전고점을 돌파했는데요. BottomSheet 하나로, 어떻게 많은 서

blog.wadiz.kr

좋은 글 나눠주신 @조이 님 감사합니다. 😊

 

문제정의 : 와디즈에서 '팔로우'가 왜 필요할까?

와디즈에는 두 고객이 존재.

  • 프로젝트를 오픈하는 '메이커'와, 메이커의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'서포터'가 있습니다.
  • B2B2C라고 본다면, 판매자는 '메이커', 개인 소비자는 '서포터'입니다.

 

와디즈의 생태계 확장을 위해서는 다음이 중요했습니다. 

  • 메이커 : 지속적으로 와디즈에 찾아 프로젝트를 오픈 (-> 특정 기간 내 오픈 횟수)
  • 서포터 : 메이커의 프로젝트를 반복적으로 찾기 (-> 조회/탐색율)

 

이를 위해서는, 마음에 드는 프로젝트 하나를 찜하는 것에서 나아가

'메이커'에게 주목하게 하는 Fan을 만드는 과정이 필요

 

Action 1: Fan을 만드는 첫 과정 '팔로우'를 구축하기 위해,

직접 사용자 입장에서 '나는 언제 가장 팔로우를 하고 싶을까?' 생태계 전체를 주목했습니다.

 

@와디즈 블로그

 

 

여기서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메이커의 'Fan'이 되도록 유도했습니다.

  • 알림신청 / 찜하기를 했지만 팔로우 X -> "메이커도 팔로우 할까요?" 권유
  • 이미 팔로우 한 경우 -> "다른 프로젝트는 어때요?"로 동일 메이커의 새로운 프로젝트 탐색

 

Action 2 : 타겟 사용자에 따라 Bottom Sheet로 슬쩍 찔러보기

  1. 알림신청/찜하기를 했으나, 메이커 팔로우는 하지 않은 경우
    • ▶︎ 메이커를 팔로우부터 할 수 있도록
  2. 팔로우는 이미 완료, 마침 메이커의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
    • ▶︎ 팔로우한 메이커의 다른 프로젝트를 탐색할 수 있도록

 

Action 3 : '알림 수신 동의'도 넛지하기

 

(좌) As-is (우) To-be

 

(AS-IS) 메이커 팔로우, 알림수신 동의 하나의 모달에서 동시에 

(TO-BE) 메이커 팔로우를 1순위로, 알림수신 동의 동선 추가

 

Bottom Sheet 2개로 나누어 제공한 결과,

알림 수신 동의 무려 97% 상승

 

동선을 하나 더 늘린 것이 오히려 서비스에 대한 인지와 알림 수신의 필요성 어필

 

가드레일 설정 : 탐색을 방해하지 않기

가장 처음에 뜨는 BottomSheet에 딤드영역/백버튼/닫기 버튼을 누튼 사용자들 -> 소극적 사용자로 분류

이들의 탐색을 더 이상 방해하지 않기 위해 24H 내 동일 BottomSheet 미노출 로직 추가

 

결과 : 배포 후 지표 모니터링

KPI : 일평균 팔로우 수 - '오픈예정' 에서만 만 명 가까운 팔로우가 실시간으로 일어남.

-> 팔로우로 메이커와 서포터 간의 연결고리가 단단해짐

 

단순 메이커 팔로우의 증가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,

프로젝트 하나를 찜하는 것에서 나아가 프로젝트의 메이커 팔로우까지 -

구독형태로 한번에 가져갈 수 있음.

 

와디즈에 더 많은 메이커의 Fan 이, 나아가 와디즈의 팬이 생길 것.

 

🥮 과제 설정 배경과 섬세한 기획

메이커와 서포터, 두 고객이 있는 펀딩 플랫폼의 생태계를 뜯어보며 그들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과정이 흥미로웠습니다.

행동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용자를 두 그룹으로 분류하고, 그에 맞게 다르게 넛지하며

수신알림동의 동선을 추가하여 '서비스에 대한 인지와 알림 수신의 필요성을 어필'하는 문제해결 Flow를 납득하며 따라갈 수 있었습니다.

 

특히, 팔로우/수신동의를 유도하는 BottomSheet가 지속적으로 노출되어 탐색이 방해받지 않도록

가드레일 정책을 섬세하게 기획하신 부분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.

 

첫번재 BottomSheet에서 딤드/백/닫기 선택한 사용자를 '소극적 사용자'로 분류 후, 

그에 맞는 로직을 설계한다면 과한 피로감은 피하고 본목적(아이템 탐색)에 집중할 수 있을 것입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