안녕하세요, 기획자 팥씨입니다.🥮
오늘은 TMS 시스템의 개편 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👀
https://techblog.woowahan.com/17466/
운송 관리 시스템(TMS)의 탄생부터 현장에서 사용하기까지 | 우아한형제들 기술블로그
{{item.name}} 우아한형제들의 B마트 서비스는 고객님이 주문한 상품을 물류센터를 통해 문 앞까지 배달해 드리고 있습니다. 이 때문에 센터 관리, 간선 운송 관리 등의 역할이 필요합니다. 지난 2024
techblog.woowahan.com
1. [배경] TMS 가 필요했던 이유 | 인천기지 오픈
- TMS는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으로 , '운송관리시스템'을 뜻함
- 우아한형제들의 물류센터로 상품이 들어오고 나가는 과정에서 배차와 관련된 모든 것을 관리
- 주요 사용자는 배차 담당자, 운송사, 차량 기사님 등
TMS 에 관한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.
https://www.sap.com/korea/products/scm/transportation-logistics/what-is-a-tms.html
(계기)
- 23년 5월 새로운 중앙 물류기지 (인천기지) 오픈
- 인천 중앙물류기지는 퀵커머스 물류의 근거지
- 배민B 마트의 운영에 필요한 물품을 하루도 빠짐없이 보내는 역할
- 전국 각지의 피패킹센터 (Picking & Packing Center)로 필요한 상품들을 보냄
- 판매가 어렵거나 파손/폐기된 상품은 다시 받아 처리
- 기존 위탁 운영 방식이 아닌, 우아한청년들이 직운영하는 방식의 배차 관리 시행
- 센터 간 운송을 위한 배차 관리 시스템 필요
2. [문제] 신규 TMS 오픈, 사용률 0%
- 인천기지 오픈에 맞추어 신규 물류플랫폼 TMS 오픈과 저조한 사용률
- 근본 원인 파악을 위해 현장 방문
2-1. 현장 프로세스와의 괴리
- 예상 수량 기반 배차 생성
- 정보 수정의 유연성 부족
- 주어진 시간 대비 너무 오래 걸리는 배차 과정
바쁘게 움직이는 현장에서 사용하는 데 무리가 있는 것을 확인
2-2. 강력한 경쟁자 엑셀
- 당시 현장에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던 툴 '엑셀'
- 정보 수정이 유연한 엑셀의 특성 활용해 배차 정보 변경 등 현장의 다양한 케이스에 대응
- 엑셀대비 TMS 사용 필요성 느끼기 어려움
3. [액션] 변화 관리
3-1. 방향성 재수립
- 현장 배차 프로세스에 맞는 신규 프로세스 수립
- 다양한 기준 정보 관리를 통한 기본 배차 계획 자동화
-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상황에 맞게 대응 가능한 UX 디자인
- 계약 정보를 바탕으로 운임 산정 및 마감/정산 기능 제공
"완전히 새로운 TMS가 필요할 것"
3-2. Slack 채널 오픈
- TMS 관계자와 한곳에서 목표 달성 과정 공유
- 운영 변경사항, TMS 개선 관련 기획 리뷰, 현장 베타 테스트 등
- 이를 통해, 현장에서도 TMS 사용해야 한다는 공감과 의지
3-3. 현장 요구사항 수용
- 현장에서 TMS를 사용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 사항들 지속 요청
- 현장 Use Case 반영해 필요 기능 하나하나 추가
결과 : 실패
엑셀과 병행하며 배차 담당자 한명이 별도로 하나하나 입력하는 수준에 그침
3-4. 일단 정산 기능부터 제공
- TMS의 주요 기능 중 하나 = 운송료 정산 기능
- 정산기능 주 목표 = 당일 수행된 배차 이력으로 양사간 계약 정보를 반영해, 정산 금액 산출
- 하지만 TMS 통해 배차를 하고 있지 않아 정산할 배차 정보가 없었고,
- 엑셀로 진행한 배차 결과를 TMS에 등록하고
- 등록된 결과 기반 마감 및 정산 가능하도록 수행
결과 : 성공
- 배차 결과가 TMS에 전부 기록되고, 신뢰할 수 있는 정산 금액 산출을 할 수 있게 됨
- 사용자로부터 엑셀로 정산 금액을 산출하는 것보다 낫다는 평을 받음
4. [결과] TMS 대대적 개편
4-1. 프로젝트 요약
- 배차 단계 : 계획과 실행으로 분리, 기존 수기 사용에서 TMS 통한 최적화 배차 프로세스 제공
- 고정 계약 차량 배차 자동 생성 / 출고 물량 자동 분배 기능 -> 업무 효율성과 편의성 제공
- TMS 시스템화 -> 배차 전 과정의 이력 가시화
- 출고 물량 카운팅, 차량 관제, 입출차 이력, 마감/정산 등
4-2. 프로젝트 성과
4.2.1 수기 배차업무 100% TMS 전환
4.2.2 배차 전 과정 이력을 가시화
4.2.3 배차 계획 30분 내 완료
5. [레슨] 현장과 공감
- 현장을 온전히 이해하고, 최적의 솔루션을 찾아야 함.
- Slack 채널 적극 소통 및 경청을 통한 TMS 사용 필요성에 대한 공감 도출
6. [앞으로] TMS
- 물류를 효율화하기 위한 TMS 과제
- 운송이 필요한 모든 곳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확대
- 이동 중인 상품의 상세 정보를 관리
- WMS, OMS 다른 물류 시스템과의 연동
- M/L, AI 등 다양한 IT 기술 기반으로 시간과 비용 관점에서의 최적화 달성
🥮 현장이 없는 프로덕트는 없다
물류, TMS 등 익숙하지 않은 도메인이었지만,
이전 글 (힐링페이퍼, ABC studio 등)에서 다루었듯이
'더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도록' 관계자들을 돕는 프로덕트 기획에 있어서는 현장이 1순위임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
기존 사용하던 툴이었던 '엑셀'의 유연성을 그대로 녹이면서,
관계자분들과의 활발한 소통을 통해 새로운 TMS의 필요성에 대한 공감을 도출했다는 점이 인상깊었습니다.
'[기획자 시선]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장보기 오픈런부터 B마트 장보기까지 : 온라인-오프라인 매끄러운 행사기획은 이렇게 (2) | 2024.06.21 |
---|---|
Day18. 컬리에서 함께 구매할 상품 추천하기 (0) | 2024.06.06 |
Day16. ABC studio에서 데마에칸 머천트 앱 리뉴얼하기 (1) | 2024.05.28 |
Day15. (SaaS) 힐링페이퍼에서 고객도 모르는 고객의 모든 것을 알아내기 (0) | 2024.05.27 |
Day14. 와디즈에서 메이커 팔로우 유도하기 (2) | 2024.05.25 |